Every day Venus
우리는 다름 속에서 함께 살아간다. 이해의 충돌은 갈등을 만들고, 갈등은 몸의 긴장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긴장은 사회 속 관계 뿐 아니라 개인의 몸과 마음 안에서도 반복된다. 건강한 순환을 위해서는 긴장을 풀어내는 '이완'의 과정이 필요하다.
나는 긴장과 이완의 흐름을 풍만한 인체를 통해 시각화한다.
정적인 요가 자세 안에는 균형을 위한 미세한 움직임이 존재하며 둥근 형태는 긴장을 완화하고 따뜻한 에너지를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나는 현대의 미의 기준에서 벗어난 시선을 선택했다. 완벽한 비율 대신 곡선을 중심으로 과장한 형태를 통해 삶의 여유와 공감을 담고자하였다.
마치 오래된 민화 속 익숙한 존재들이 진지함 속에서도 엉뚱한 표정으로 우리를 맞이하듯, 나의 작품도 너무 정제되지 않은 유머와 인간다움을 품고있다.
고대의 빌렌도르프의 비너스처럼, 풍만한 형태는 부드러움과 회복을 상징하며 이를 통해 긴장과 이완의 교차 속에서 우리가 머물 수 있는 긍정적인 세계를 시각화한다.
We live together in our differences. Conflicts of interest create conflict, and conflict leads to physical tension. This tension is repeated not only in relationships in society, but also in our individual bodies and minds. The process of ‘relaxation’, the release of tension, is essential for a healthy cycle. I visualize the flow of tension and relaxation through the voluptuous human body. Within static yoga poses, there are subtle movements for balance. rounded shapes relieve tension and convey warm energy. It's more than just a depiction of the body, it's a visual representation of a state of mind. In this process, I chose a gaze that deviates from modern aesthetic standards. Instead of perfect proportions, I chose exaggerated forms centered on curves to convey the ease and empathy of life. It's like familiar characters in an old folk tale, greeting us with their silly expressions despite their seriousness, my work also contains humor and humanity that is not too refined. This flow is embodied in my ceramic sculptures in semi-abstract forms. The forms are both concrete and symbolic, and function as a psychological refuge in the midst of an anxious everyday life. Like the ancient Venus of Willendorf, the voluptuous forms symbolize tenderness and restoration. It visualizes a positive world in which we can dwell in a state of tension and relaxation.